You signed in with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You signed out in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You switched accounts on another tab or window. Reload to refresh your session.Dismiss alert
누누: 입력유효성 검증같은 경우엔 String이 null로 들어오는 등의 검증 / 도메인에서 not null 체크까지 전부 하면 지저분해진다. / 그래서 null체크는 입력 유효성 검증으로 분리해줘라.
테오: 누누와 이하 동문. null check나 비즈니스 규칙을 체크하는게 아니기때문에, 서비스에서 순수하게 비즈니스 규칙만 다루기 힘들다. 비즈니스 규칙을 검증하는 로직과, null 체크나 empty체크를 함께 하면 오염된다고 말하는게 아닐까?
비버: 비즈니스 로직에서는 null check나 그런걸 하지 않고, 진짜 비즈니스적인 것만 하면 된다고 생각하냐?
테오: ㅇㅇ. 서비스를 호출하는 누군가가 있을텐데, 서비스는 항상 올바른 데이터를 전달받았다고 가정하고 짜는게 베스트라 생각한다. 만약 Service에서 null체크를 할거면, 도메인에서도 Null체크를 하는 가능성을 열어둬야한다고 생각한다. 입력 모델에서 null체크를 하면 서비스에서는 검증을 하지 않아도 된다. 여기서 말하는 입력 모델은 클라이언트에서 넘어오는 Dto보다는 컨트롤러에서 넘어오는 Dto에 가깝다고 생각한다.
입력 유효성 검증을 Validator를 사용해서 처리하는게 왜 오염시키는 것인가
The text was updated successfully, but these errors were encounte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