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tifications
You must be signed in to change notification settings - Fork 6
1211 week4 Peer Session
msmk530 edited this page Dec 11, 2020
·
3 revisions
J074 박상신
J129 윤영우
J131 윤현우
J176 장준영
J188 정지찬
금주에 개발하면서 고민했던 사항들을 중점적으로 논의해봤습니다.
성능을 향상시키고 싶은 부분, 구현에 어려움을 겪었던 부분 등
- (꺾은선 그래프 대신)area chart 라이브러리를 썼었다
- svg를 이용한 직접 구현
- 가계부에는 1명의 관리자 + n명의 일반 회원 존재
- 일반 회원이 탈퇴할 때는 그대로 탈퇴 처리
- 관리자가 탈퇴할 경우, 관리자 권한을 다른 사람에게 양도해야 함 (구현예정)
-
D조: 현재 방식은 url에 query string으로 가계부 id를 넣어주고 있는데, 권한이 없는 유저가 직접 url을 치고 들어왔을 때 튕겨내는 작업에서 네트워크 지연이 심하게 발생함. 이 지연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 URL에 accountID
- B조: 가계부 선택 시 쿠키에 accoutBookId를 넣음. BE에서는 header에 있는 cookie를 parsing 해서 사용. 즉, url에는 accountBookId에 대한 정보를 따로 넣지 않습니다.
- A조: 저희도 accountbook의 고유 id를 url에 넣지 않습니다. 대신 다음과 같은 url을 사용합니다.
(가계부관리자id)/(가계부제목)
- ex)
moa-re.kr/hyeonu/A조가계부
- E조 : accountbook의 id를 url에 넣지 않고 store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 URL에 accountID
-
내도메인.한국
(D조 WIKI - 사이드바 - 2주차 피어세션 참고)
-
아래와 같은 검증 절차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 Import할 때 서비스에서 사용하고 있는 테이블의 속성명과 일치하는지 검증
- Import한 파일 내에서 특정 레코드에 비어있는 값이 존재하는지 검증
-
업로드 된 csv 파일을 백엔드에 보내서 분석하고 싶었으나 FE에서 분석을 하지 않고 보낼 시 많은 문제를 겪었다.
-
load spinner 적용
- isLoading(boolean) 값을 store에서 관리
- default: true
- fetching 작업이 끝나면 isLoading을 false로
J128_윤석주
J210_최홍일
J004_강민수
J029_김도연
J074_박동현
, J209_최창희
- D조는 현재 프론트 페이지를 렌더링할 때 마다 인증체크 api를 날리고있는데, api 호출을 줄이기 위한방법이 있을까요..?
- app.tsx 안에서 로그인 상태가 변경될 때만 useEffect 사용하기
- 처음 로그인 시에 권한정보를 상태로 관리하기
- A
- 리팩토링을하며 서로의 코드를 이해하는 시간을 가질것 같습니다. 자잘한 버그도 수정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 C
- 리팩토링, 서로의 생각을 다 알 수 있게 대화하기
- D
- 화요일 또는 늦으면 수요일까지 기능 구현 그 이후에는 버그잡고 리팩토링하기로 하였습니다.
- E
- 필수 기능 구현을 제외하고 남은 시간은 리팩토링을 할 것 같습니다.
- 부가 기능은 6-7주차 개발을 고려중입니다.
- F
- 기존에 구현한 기능의 동작을 새로운 방식으로 변경해야해서 리팩토링 겸 새로운 개발이 진행될듯 싶어요...
-
A
- 매 PR마다 코드리뷰를 하고 있습니다. 컨벤션은 괜찮은지, 구조는 간단하게 했는지, 하드코딩을 하지 않았는지, 논리는 괜찮은지 등을 팀원 모두가 확인합니다.
- 최소 2명 이상이 커밋해야 merge가 가능합니다.
- PR시 주요 논리가 들어있는 코드를 간단하게 설명하고, 실행화면을 첨부하여 리뷰를 돕고 있습니다.
-
C
- 시간 날때마다 하는편
- 요즘은 작업이 많아서 잘 안지켜진다.
- 아침에 스크럼시간에 보통 자기가 작업한 내용을 보여주면서 설명함
-
D
- 오전에 1시간~2시간정도 시간을 잡고 PR 리뷰를 하고 있습니다.
- 리뷰를 하면서 코딩 컨벤션을 많이 업데이트 시켰습니다.
-
E
- 코딩컨벤션을 준수하는지
- 하드코딩하지 않았는지
- 변수명을 올바르게 선언하였는지
- 새롭게 적용한 문법의 사용법은 어떻게 되는지
- 등의 내용에 대해 자유롭게 댓글을 남깁니다.
- 매 PR마다 가능한 모든 팀원이 댓글을 남겨야 merge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 하루에 2-3회 정도 코드리뷰 시간을 갖습니다.
-
F
- 최소 2명 이상이 커밋해야 merge
- 개선점이 있는가
- 리뷰 도중 의논거리가 있으면 다같이 회의
- 오탈자나 컨벤션 위주로 먼저 확인하고 테스트용 코드가 남아있지 않은지 체크합니다
- 코드의 흐름을 쭉 따라가보면서 이해가 잘 안되는 부분을 질문
- A
- 컴포넌트간의 공유할 데이터가 있다면 store,없다면 컴포넌트딴에서 가지고 있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 C
- 전역에서 공유할 일이 있다면? Store 아니라면? State
- 둘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더라도, 왜 사용했는지가 중요하다.
- F
- 전역관리가 필요할때만
- A
- 논의예정입니다.
- C
- 다음주에 얘기해보지 않을까요?
- D
- 기술적인 도전이 많이 없어서 협업과정에 대해서 발표해보려고 논의중입니다.
- E
- 주말에 논의할 것 같습니다.
- F
- 금일 정규시간 이후 논의
- 전반적인 웹개발과 팀으로 일하는 방법을 배운 것 같습니다.
- 부캠 이전에 혼자 공부할때는 할 수 없었던 팀원들과의 작업을 통해 협업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었습니다.
- 백로그, api명세, 기획서 등 팀끼리 작업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들을 익힐 수 있었습니다.
- 깃헙의 다양한 기능
- 전반적인 웹 생태계, 지식
- 커뮤니케이션 주도의 중요성
- 기획-개발-배포의 과정을 모두 경험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 개발지식을 떠나서 팀으로 협업하는 방식을 가장 많이 배운것 같습니다.
- 동료들의 학습방법, 개발에 대한 태도에서 앞으로 나아갈 방향성을 찾음
- 개발 얘기를 나눌수 있는 친구(?)들이 생겨서 너무 행복 😀
- 참여자 :
J114양예진
J169임기봉
J034김민섭
J045김영근
J160이지우
J184정상우
- typescript 잘 사용해보기
- React atomic 디자인 (With 스토리북)
- 뉴모피즘과 머테리얼 디자인 직접 구현해보기
- 통통 튀는 그래프 애니메이션
- 달력관련 여러 기능
- 기획자 및 팀원들과의 소통이 확실해야 프로젝트가 산으로 가지 않는다
- 타입스크립트를 사용할 때, 팀원과 협업을 위해 타입을 잘 지정해주어야 한다.
- 팀원들과 대화할 때는 존중하는 언어를 사용해야 한다.
- 렌더링 느린 부분 분석하여 개선
- 기능 개발보다는 리팩토링과 버그 수정
- 최적화를 하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