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Merged
Changes from 1 commit
Commits
File filter

Filter by extension

Filter by extension

Conversations
Failed to load comments.
Loading
Jump to
Jump to file
Failed to load files.
Loading
Diff view
Diff view
122 changes: 72 additions & 50 deletions content/ko/docs/concepts/workloads/controllers/daemonset.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6,8 +6,14 @@
# - janetkuo
# - kow3ns
title: 데몬셋
api_metadata:
- apiVersion: "apps/v1"
kind: "DaemonSet"
description: >-
데몬셋은 노드 로컬 기능을 제공하는 파드를 정의한다. 이러한 파드는 네트워킹 도우미 도구처럼 클러스터 운영에 필수적인 기능일 수도 있고 애드온의 일부일 수도 있다.
content_type: concept
weight: 40
hide_summary: true # Listed separately in section index
---

<!-- overview -->
Expand Down Expand Up @@ -35,7 +41,7 @@ _데몬셋_ 은 모든(또는 일부) 노드가 파드의 사본을 실행하도
YAML 파일에 데몬셋 명세를 작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 `daemonset.yaml` 파일은
fluentd-elasticsearch 도커 이미지를 실행하는 데몬셋을 설명한다.

{{< codenew file="controllers/daemonset.yaml" >}}
{{% code_sample file="controllers/daemonset.yaml" %}}

YAML 파일을 기반으로 데몬셋을 생성한다.

Expand Down Expand Up @@ -79,12 +85,12 @@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controllers/daemonset.yaml
`.spec.template`의 레이블과 매치되는
파드 셀렉터를 명시해야 한다.
또한, 한 번 데몬셋이 만들어지면
`.spec.selector` 는 바꿀 수 없다.
파드 셀렉터를 변형하면 의도치 않게 파드가 고아가 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에게 혼란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spec.selector` 는 바꿀 수 없다. 파드 셀렉터를 변형하면
의도치 않게 파드가 고아가 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에게 혼란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spec.selector` 는 다음 2개의 필드로 구성된 오브젝트이다.

* `matchLabels` - [레플리케이션 컨트롤러](/ko/docs/concepts/workloads/controllers/replicationcontroller/)의
* `matchLabels` - [레플리케이션컨트롤러](/ko/docs/concepts/workloads/controllers/replicationcontroller/)의
`.spec.selector` 와 동일하게 작동한다.
* `matchExpressions` - 키, 값 목록 그리고 키 및 값에 관련된 연산자를
명시해서 보다 정교한 셀렉터를 만들 수 있다.
Expand All @@ -105,30 +111,31 @@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controllers/daemonset.yaml

## 데몬 파드가 스케줄 되는 방법

### 기본 스케줄러로 스케줄

{{< feature-state for_k8s_version="1.17" state="stable" >}}

데몬셋은 자격이 되는 모든 노드에서 파드 사본이 실행하도록 보장한다. 일반적으로
Copy link
Member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This line needs to be consistent with L21: "데몬셋 은 모든(또는 일부) 노드가 파드의 사본을 실행하도록 한다. 노드가 클러스터에 추가되면". I like "실행하도록 보장한다" - please reflect L21 translation.

쿠버네티스 스케줄러에 의해 파드가 실행되는 노드가 선택된다. 그러나
데몬셋 파드는 데몬셋 컨트롤러에 의해 생성되고 스케줄된다.
이에 대한 이슈를 소개한다.

* 파드 동작의 불일치: 스케줄 되기 위해서 대기 중인 일반 파드는 `Pending` 상태로 생성된다.
그러나 데몬셋 파드는 `Pending` 상태로 생성되지 않는다.
이것은 사용자에게 혼란을 준다.
* [파드 선점](/ko/docs/concepts/scheduling-eviction/pod-priority-preemption/)은
기본 스케줄러에서 처리한다. 선점이 활성화되면 데몬셋 컨트롤러는
파드 우선순위와 선점을 고려하지 않고 스케줄 한다.

`ScheduleDaemonSetPods` 로 데몬셋 파드에 `.spec.nodeName` 용어 대신
`NodeAffinity` 용어를 추가해서 데몬셋 컨트롤러 대신 기본
스케줄러를 사용해서 데몬셋을 스케줄할 수 있다. 이후에 기본
스케줄러를 사용해서 대상 호스트에 파드를 바인딩한다. 만약 데몬셋 파드에
이미 노드 선호도가 존재한다면 교체한다(대상 호스트를 선택하기 전에
원래 노드의 어피니티가 고려된다). 데몬셋 컨트롤러는
데몬셋 파드를 만들거나 수정할 때만 이런 작업을 수행하며,
데몬셋의 `spec.template` 은 변경되지 않는다.
데몬셋은 자격이 되는 모든 노드에서 파드 사본이 실행하도록 보장한다.
데몬셋 컨트롤러는 각 적격한 노드에 파드를 생성하고
파드의 `spec.affinity.nodeAffinity` 필드를 추가하여 대상 호스트와 일치시킨다.
파드가 생성되면 일반적으로 기본 스케줄러가 작업을 인계받아
`.spec.nodeName` 필드를 설정하여 파드를 대상 호스트에 바인딩한다.
새 파드가 노드에 맞지 않으면 기본 스케줄러가 새 파드의
[우선순위](/ko/docs/concepts/scheduling-eviction/pod-priority-preemption/#pod-priority)에 따라
기존 파드 중 일부를
선점(제거)할 수 있다.

{{< note >}}
데몬셋 파드가 각 노드에서 실행되는 것이 중요한 경우, 데몬셋의
`.spec.template.spec.priorityClassName` 을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
[프라이어리티클래스(PriorityClass)](/ko/docs/concepts/scheduling-eviction/pod-priority-preemption/#priorityclass)로 설정하여
이러한 축출이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 /note >}}

사용자는 데몬셋의 `.spec.template.spec.schedulerName` 필드를 설정하여
데몬셋의 파드에 다른 스케줄러를 지정할 수 있다.

`.spec.template.spec.affinity.nodeAffinity` 필드(지정된 경우)에
지정된 원래 노드 어피니티는
데몬셋 컨트롤러가 적격 노드를 평가할 때 고려되지만,
생성된 파드에서는 적격 노드의 이름과 일치하는 노드 어피니티로
대체된다.

```yaml
nodeAffinity:
Expand All @@ -141,25 +148,40 @@ nodeAffinity:
- target-host-name
```

또한, 데몬셋 파드에 `node.kubernetes.io/unschedulable:NoSchedule` 이 톨러레이션(toleration)으로
자동으로 추가된다. 기본 스케줄러는 데몬셋 파드를
스케줄링시 `unschedulable` 노드를 무시한다.

### 테인트(taints)와 톨러레이션(tolerations)

데몬 파드는
[테인트와 톨러레이션](/ko/docs/concepts/scheduling-eviction/taint-and-toleration/)을 존중하지만,
다음과 같이 관련 기능에 따라 자동적으로 데몬셋 파드에
톨러레이션을 추가한다.
데몬셋 컨트롤러는 데몬셋 파드에
{{< glossary_tooltip text="톨러레이션" term_id="toleration" >}} 세트를 추가한다.
Copy link
Member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Suggested change
{{< glossary_tooltip text="톨러레이션" term_id="toleration" >}} 세트를 추가한다.
{{< glossary_tooltip text="톨러레이션" term_id="toleration" >}} 세트를 자동으로 추가한다.

원문의 automatically 의 번역이 누락된 것 같습니다.


{{< table caption="데몬셋 파드를 위한 톨러레이션" >}}

| 톨러레이션 키 | 영향 | 버전 | 설명 |
| ---------------------------------------- | ---------- | ------- | ------------------------------------------------------------ |
| `node.kubernetes.io/not-ready` | NoExecute | 1.13+ | 네트워크 파티션과 같은 노드 문제가 발생해도 데몬셋 파드는 축출되지 않는다. |
| `node.kubernetes.io/unreachable` | NoExecute | 1.13+ | 네트워크 파티션과 같은 노드 문제가 발생해도 데몬셋 파드는 축출되지 않는다. |
| `node.kubernetes.io/disk-pressure` | NoSchedule | 1.8+ | 데몬셋 파드는 기본 스케줄러에서 디스크-압박(disk-pressure) 속성을 허용한다. |
| `node.kubernetes.io/memory-pressure` | NoSchedule | 1.8+ | 데몬셋 파드는 기본 스케줄러에서 메모리-압박(memory-pressure) 속성을 허용한다. |
| `node.kubernetes.io/unschedulable` | NoSchedule | 1.12+ | 데몬셋 파드는 기본 스케줄러의 스케줄할 수 없는(unschedulable) 속성을 극복한다. |
| `node.kubernetes.io/network-unavailable` | NoSchedule | 1.12+ | 호스트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데몬셋 파드는 기본 스케줄러에 의해 이용할 수 없는 네트워크(network-unavailable) 속성을 극복한다. |
| 톨러레이션 키 | 영향 | 설명 |
| --------------------------------------------------------------------------------------------------------------------- | ------------ | --------------------------------------------------------------------------------------------------------------------------------------------- |
| [`node.kubernetes.io/not-ready`](/ko/docs/reference/labels-annotations-taints/#node-kubernetes-io-not-ready) | `NoExecute` | 네트워크 파티션과 같은 노드 문제가 발생해도 데몬셋 파드는 축출되지 않는다. |
| [`node.kubernetes.io/unreachable`](/ko/docs/reference/labels-annotations-taints/#node-kubernetes-io-unreachable) | `NoExecute` | 데몬셋 파드는 노드 컨트롤러에서 접근할 수 없는 노드에 예약될 수 있다. 이러한 노드에서 실행 중인 데몬셋 파드는 제거되지 않는다. |
| [`node.kubernetes.io/disk-pressure`](/ko/docs/reference/labels-annotations-taints/#node-kubernetes-io-disk-pressure) | `NoSchedule` | 데몬셋 파드는 디스크 압박 문제가 있는 노드에 예약될 수 있다. |
| [`node.kubernetes.io/memory-pressure`](/ko/docs/reference/labels-annotations-taints/#node-kubernetes-io-memory-pressure) | `NoSchedule` | 데몬셋 파드는 메모리 부족 문제가 있는 노드에 예약될 수 있다. |
| [`node.kubernetes.io/pid-pressure`](/ko/docs/reference/labels-annotations-taints/#node-kubernetes-io-pid-pressure) | `NoSchedule` | 데몬셋 파드는 프로세스 압력 문제가 있는 노드에 예약될 수 있다. |
| [`node.kubernetes.io/unschedulable`](/ko/docs/reference/labels-annotations-taints/#node-kubernetes-io-unschedulable) | `NoSchedule` | 데몬셋 파드는 예약할 수 없는 노드에 예약될 수 있다. |
| [`node.kubernetes.io/network-unavailable`](/ko/docs/reference/labels-annotations-taints/#node-kubernetes-io-network-unavailable) | `NoSchedule` | **호스트 네트워킹을 요청하는 데몬셋 파드에만 추가되었다**, 즉, `spec.hostNetwork: true`를 가진 파드이다. 이러한 데몬셋 파드는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없는 노드에 예약될 수 있다.|

{{< /table >}}

데몬셋의 파드 템플릿에서 정의하여,
데몬셋의 파드에 자체 톨러레이션을 추가할 수도 있다.

데몬셋 컨트롤러가
`node.kubernetes.io/unschedulable:NoSchedule` 톨러레이션을 자동으로 설정하므로,
쿠버네티스는 _unschedulable_ 로 표시된 노드에서 데몬셋 파드를 실행할 수 있다.

데몬셋을 사용하여 [클러스터 네트워킹](/ko/docs/concepts/cluster-administration/networking/)과 같은
중요한 노드 수준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쿠버네티스가 데몬셋 파드를 노드가 준비되기 전에 노드에 배치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특별한 허용 범위가 없으면 네트워크 플러그인이
실행 중이 아니기 때문에 노드가 준비 완료로 표시되지 않고,
동시에 노드가 아직 준비되지 않았기 때문에 네트워크 플레인이
해당 노드에서 실행되지 않는 교착 상태에 빠질 수 있다.

## 데몬 파드와 통신

Expand All @@ -174,7 +196,8 @@ nodeAffinity:
그 다음에 `엔드포인트` 리소스를 사용해서 데몬셋을 찾거나
DNS에서 여러 A레코드를 검색한다.
- **서비스**: 동일한 파드 셀렉터로 서비스를 생성하고, 서비스를 사용해서
임의의 노드의 데몬에 도달한다(특정 노드에 도달할 방법이 없다).
임의의 노드의 데몬에 도달한다. [서비스 내부 트래픽 정책](/ko/docs/concepts/services-networking/service-traffic-policy/)을 사용하여
동일한 노드에 있는 파드로 제한한다.

## 데몬셋 업데이트

Expand Down Expand Up @@ -224,7 +247,7 @@ Kubelet이 감시하는 특정 디렉터리에 파일을 작성하는 파드를

데몬셋은 파드를 생성한다는 점에서 [디플로이먼트](/ko/docs/concepts/workloads/controllers/deployment/)와 유사하고,
해당 파드에서는 프로세스가 종료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예: 웹 서버).
예상한다(예: 웹 서버, 스토리지 서버).
Copy link
Member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L236: "데몬 셋을" -> "데몬셋을"


파드가 실행되는 호스트를 정확하게 제어하는 것보다 레플리카의 수를 스케일링 업 및 다운 하고,
업데이트 롤아웃이 더 중요한 프런트 엔드와 같은 것은 스테이트리스 서비스의
Expand All @@ -233,12 +256,12 @@ Kubelet이 감시하는 특정 디렉터리에 파일을 작성하는 파드를

예를 들어, [네트워크 플러그인](/ko/docs/concepts/extend-kubernetes/compute-storage-net/network-plugins/)은 데몬셋으로 실행되는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데몬셋 컴포넌트는 작동 중인 노드가 정상적인 클러스터 네트워킹을 할 수 있도록 한다.


## {{% heading "whatsnext" %}}

* [파드](/ko/docs/concepts/workloads/pods/)에 대해 배운다.
* 쿠버네티스 {{< glossary_tooltip text="컨트롤 플레인" term_id="control-plane" >}}
컴포넌트를 기동하는데 유용한
[스태틱 파드](#static-pods)에 대해 배운다.
* 쿠버네티스 {{< glossary_tooltip text="컨트롤 플레인" term_id="control-plane" >}} 컴포넌트를 기동하는데 유용한
[스태틱 파드](/ko/docs/tasks/configure-pod-container/static-pod/)에 대해 배운다.
* 데몬셋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아본다.
* [데몬셋 롤링 업데이트 수행하기](/ko/docs/tasks/manage-daemon/update-daemon-set/)
* [데몬셋 롤백하기](/ko/docs/tasks/manage-daemon/rollback-daemon-set/)
Expand All @@ -248,5 +271,4 @@ Kubelet이 감시하는 특정 디렉터리에 파일을 작성하는 파드를
[애드온](/ko/docs/concepts/cluster-administration/addons/)에 대해 배운다.
* `DaemonSet`은 쿠버네티스 REST API에서 상위-수준 리소스이다.
데몬셋 API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
{{< api-reference page="workload-resources/daemon-set-v1" >}}
오브젝트 정의를 읽는다.
{{< api-reference page="workload-resources/daemon-set-v1" >}} 오브젝트 정의를 읽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