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전처리부터 모델 학습, 배포, API 제공까지 한 번에 말아드립니다.
비전문가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노코드 머신러닝 파이프라인 플랫폼 'roll-model' 입니다.
roll-model은 데이터 전처리, 모델링, 평가, 배포 과정의 자동화, 용어와 사용법 가이드를 통해 누구나 손쉽게 AI 모델을 개발하고 API로 배포할 수 있도록 돕는 플랫폼입니다.
2025.04.14 ~ 2025.05.22 (6주)
- 🌀 roll-model
- 튜토리얼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사용법 설명
- 가이드라인을 통해 용어 및 세부사항 설명
- 버튼 클릭으로 전처리 적용
- 전처리 결과 데이터, 전/후 처리 비교 제공
- 데이터 구조와 프로젝트 목적에 따라 AI 프롬프팅
- 전처리 과정의 오류 회피 및 모델 학습에 적합한 전처리 추천
- 모델 학습 후 API 자동 생성 (Curl, Python, JS, Java 예제 제공)
- 상세 API 문서와 모델 파일 다운로드 옵션 포함
- 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
- 이상치 감지 및 데이터 분포 분석
- R², MAE, RMSE 등 다양한 지표 제공
- 특성 중요도 분석 및 예측 결과 시각화
- 모델 버전별 성능/파라미터 이력 추적
- 모델 버전 추적을 통해 연관된 모델 관리
- 타 사용자의 모델로 재학습
- 모델 공유 커뮤니티 제공
- 메시지 기반 비동기 아키텍처: Kafka + Celery Worker
- 자동화된 ML 파이프라인: 학습 요청 → 서빙까지 완전 자동화
- Kubernetes + KServe 기반 배포: 오토 스케일링, 자원 격리, 템플릿 배포
- GPU 자원의 유연한 분할로 효율 증대: 모델당 약 128MB 메모리로 자원 낭비 최소화
- Kong API Gateway 기반 보안: 모델별 ACL 기반 API 키 부여
- 확장 가능한 구조: 현재는 Scikit-learn 기반, TensorFlow/PyTorch도 확장 가능
- Frontend: Next.js, React, FCM, TailwindCSS, TanStackQuery, Jotai, Jest
- Backend: FastAPI, Spring, Celery, Kafka
- DB: MongoDB, MySQL
- Storage: MINIO
- Infra: Kubernetes, KServe, NginX, Istio, Kong API Gateway, Docker, Jenkins (CI/CD), mlflow, Scikit-learn, Jinja
![]() |
메인페이지 |
- 프로젝트 아이덴티티와 기본 가이드 확인가능
- 구글, 깃허브 소셜로그인
데이터 업로드 | 프로젝트 세팅 |
---|---|
![]() |
![]() |
• 1 • 2 • 3 • 4 |
• 1 • 2 • 3 |
전처리 가이드 | 전처리 기능 및 AI추천 기능 |
---|---|
![]() |
![]() |
• 1 • 2 • 3 • 4 |
• 1 • 2 • 3 |
전처리 파이프라인 추가 | 전처리 파이프라인 삭제 |
---|---|
![]() |
![]() |
• 1 • 2 • 3 • 4 |
• 1 • 2 • 3 |
전처리 완료 및 결과 | 모델 파라미터 설정 |
---|---|
![]() |
![]() |
• 1 • 2 • 3 • 4 |
• 1 • 2 • 3 |
![]() |
사용자 대시보드 페이지 |
- 진행중인 프로젝트 확인가능
![]() |
오픈소스 모델 공유 페이지 |
전처리데이터 상세 | 학습된 모델 상세 |
---|---|
![]() |
![]() |
• 데이터 요약 • 전처리 정보 • 주요 변수 분포 • 상관관계 매트릭스 |
• 모델 기본 정보 • 모델 성능 요약 • 모델평가 및 가이드 |
재학습 버전관리 상세 | API 서빙 상세 |
---|---|
![]() |
![]() |
• 동일한 데이터 기준 재학습 버전관리 | •학습된 모델 pkl파일 다운로드 • API 키 발급 • API엔드포인트 URL • 실사용 예제코드 제공 |
팀명 : 최AI
포지션 | 역할 | |
---|---|---|
임남기 | FE, 팀장 | 오픈소스, 대시보드, 프로젝트 상세(개요, 모델, 데이터, 버전, API), 모델 학습, 학습 상태 FCM 알림, 디자인 디자인 |
박가희 | FE | 메인, 로그인, 데이터 업로드, 프로젝트 생성, 데이터 전처리, 튜토리얼, 가이드라인, AI 전처리 추천, 재학습, 디자인 |
김준석 | BE, Infra | 모델 파이프라인(학습/평가/배포/인증/인가), PPT 제작 |
정규현 | BE, Infra | 배포, 무중단 처리, CI/CD 파이프라인, 프로젝트 상세 (모델), AI 전처리 추천, 영상 포트폴리오 제작 |
권남희 | BE, 발표 | 오픈소스, 대시보드, 프로젝트 상세(개요, 데이터, 버전, API), 모델 학습, 학습 상태 FCM 알림, 프로젝트 생성, 데이터 업로드, PPT 제작, 발표 |
진우석 | BE | 인증/인가, 데이터 전처리, 학습 실행, 워크스페이스 |
- 프로젝트 단계별 진행: 기획 → 기능구현 → 1차 MVP → 2차 MVP → 발표준비 단계로 구분하여 6주간 진행
- 일일 스크럼: 매일 오전 진행 상황 공유를 위한 스크럼 진행
- 스프린트 리뷰: 매주 금요일 완료된 기능 데모 및 회고
feat/역할(FE/BE/INF)-지라이슈번호-세부기능
예시:
feat/FE-7-login
hotfix/BE-api-error
[역할] prefix: 세부 기능
- feat: 새로운 기능 추가
- fix: 버그 수정
- docs: 문서 수정
- modify: 기능/코드 수정 완료
- refactor: 리팩토링
- hotfix: 긴급 수정
- merge / resolve / remove / add / move / conf / test
예시:
[FE] feat: 로그인 화면 구현
[BE] modify: 학습 API 파라미터 변경
# 🤷♂️ Description
<!-- 기능을 설명해주세요. -->
# 📸 Screenshots
<!-- 필요한 경우 스크린샷 첨부 -->
# 🔧 Reminder
<!-- 남은 하위 작업을 작성해주세요. -->
# ✳️ Remarks
<!-- 비고란으로 Optional -->